제물포구락부 에서 온 편지
제물포구락부의 작은 우체통
공지
뉴스레터
제물포구락부에서 온 편지 Vol.51
자주적 개항의 상징적 서사자원 3.1 만세운동을 취재하고 알린 미국 기자 나다니엘 페퍼(Nathaniel Peffer) 191
공지
뉴스레터
제물포구락부에서 온 편지 Vol.50
자주적 개항의 상징적 서사자원 ‘석호필’은 한때 영화 프리즌 브레이크의 주연이었던 배우 웬트워스 밀러(We
공지
뉴스레터
제물포구락부에서 온 편지 Vol.49
자주적 개항의 상징적 서사자원 1895년 10월 조선 주재 일본 공사의 지휘로 일본 낭인들에 의해 명성황후가 살해되는 사건이 일어난다. 이른바 을미사변이다. 청년 백
공지
뉴스레터
제물포구락부에서 온 편지 Vol.48
자주적 개항의 상징적 서사자원 서울 덕수궁 대한문을 바라보고 우측 돌담길을 따라 걸으면 돌담을 끼고 작은 골목이 나타난다. 골목 입구에 제일 먼저 서울도시건축관이
공지
뉴스레터
제물포구락부에서 온 편지 Vol.47
자주적 개항의 상징적 서사자원 우리가 알고 있는 3.1 만세운동은 1919년 3월 1일 오후 2시 경 서울 태화관에 모인 민족대표 33인 중 29인이 독립선언문을
공지
뉴스레터
제물포구락부에서 온 편지 Vol.46
자주적 개항의 상징적 서사자원 세실 쿠퍼[Alfred Cecil Cooper, 한국명 구세실(具世實)]은 영국에서 태어나 케임브리
공지
뉴스레터
제물포구락부에서 온 편지 Vol.44
자주적 개항의 상징적 서사자원 2021년 건강하시고 늘 행복한 일만 가득하길 기원합니다. 우리나라 최초의 서구식 호텔은 어
공지
뉴스레터
제물포구락부에서 온 편지 Vol.45
자주적 개항의 상징적 서사자원 규칙이 간단해 언어가 달라도 서로 감정을 공유하고 즐길 수 있다. 사회적 계급, 인종, 성별에 차별
공지
뉴스레터
제물포구락부에서 온 편지 Vol.43
자주적 개항의 상징적 서사자원 2020년 한 해 동안 제물포구락부를 사랑해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. 20
공지
뉴스레터
제물포구락부에서 온 편지 Vol.42
자주적 개항의 상징적 서사자원 1876년 강화도조약이 맺어진 7년뒤 1883년, 드디어 인천이 개항을 하게 된다. 개항한 이래 인천은 서구 국가들을 향해 열린 실질
공지
뉴스레터
제물포구락부에서 온 편지 Vol.41
자주적 개항의 상징적 서사자원 일제강점기 시절 ‘푸른 눈의 어머니’라 불리며 우리말을 하고 흰 저고리에 검정 치마를 입고 남자 검정 고무신을
공지
뉴스레터
제물포구락부에서 온 편지 Vol.40
자주적 개항의 상징적 서사자원 12월은 흔히, 가는 해의 아쉬움을 뒤로하고 오는 해의 기대와 크리스마스 시즌이 주는 북적거림으로 늘 활기가 넘치는 달이다. 하지만
공지
뉴스레터
제물포구락부에서 온 편지 Vol.39
자주적 개항의 상징적 서사자원 제임스 S. 게일(James Scarth Gale)은 1863년 2월 캐나다의 온타리오에서
공지
뉴스레터
제물포구락부에서 온 편지 Vol.38
자주적 개항의 상징적 서사자원 한국에서 자생하는 분꽃나무(Korean spice viburnum)의 학명은 비부르눔 카를
공지
뉴스레터
제물포구락부에서 온 편지 Vol.37
자주적 개항의 상징적 서사자원 프랑스의 사회학자 피에르 부르디외는 1979년에 발간한 저서 <구별짓기 : 문화와 취